2025년 1월 6일 대통령 관저에 모인 국민의힘 의원 44명
현직 국회의원이 영장집행을 방해하면 체포가 가능한지 확인해 보세요.
이름 | 지역구 |
강대식 | 대구 동구 |
강민국 | 경남 진주시 |
강문구 | 경북 구미시 |
강선영 | 비례대표 |
강승규 | 충남 홍성군 |
구자근 | 경북 구미시 |
권영진 | 대구 달서구 |
김기현 | 울산 남구 |
김민전 | 비례대표 |
김석기 | 경북 경주시 |
김선교 | 경기 양평군 |
김승수 | 대구 북구 |
김의상 | 비례대표 |
김은혜 | 경기 성남시 분당구 |
김장겸 | 비례대표 |
김정재 | 경북 포항시 북구 |
김종양 | 경남 창원시 의창구 |
나경원 | 서울 동작구 |
박대출 | 경남 진주시 |
박성민 | 울산 중구 |
박성훈 | 부산 북구 |
박중태 | 비례대표 |
박청권 | 비례대표 |
서일준 | 경남 거제시 |
서천호 | 경남 하동군 |
송언석 | 경북 김천시 |
엄태영 | 충북 제천시 |
유상범 | 강원 홍천군 |
윤상현 | 인천 미추홀구 |
이만희 | 경북 청도군 |
이상휘 | 경북 울릉군 |
이인선 | 대구 수성구 |
이종욱 | 경남 창원시 진해구 |
이철규 | 강원 동해시 |
임이자 | 경북 상주시 |
임종득 | 경북 봉화군 |
장동혁 | 충남 서천군 |
정동만 | 부산 기장군 |
정점식 | 경남 통영시 |
조배숙 | 비례대표 |
조은희 | 서울 서초구 |
조지연 | 경북 경산시 |
최수진 | 비례대표 |
최은석 | 대구 동구 |
배경과 주장:
2025년 1월 6일, 위에 언급된 의원들은 서울 한남동에 위치한 대통령 관저에 모였습니다. 이들의 주요 목적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부당한 정치적 공격으로 간주하며 이를 강력히 반대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김기현 의원이 대표 발언자로 나서 혐의의 부당성을 강조하고 공정한 사법 절차를 요구했습니다.
사건의 전말:
이날 사건은 체포영장이 발부된 상태에서 공수처가 윤 대통령의 체포를 시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를 '사법권의 남용'이라 규정하며 신속히 현장에 집결했습니다. 의원들은 "대통령을 향한 부당한 정치적 음모를 용납할 수 없다"라며 강경한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집결 장소에서는 헌법과 민주주의를 수호하겠다는 메시지가 담긴 손팻말과 현수막도 볼 수 있었습니다.
언론 반응:
언론은 상반된 반응을 보였습니다. 보수 언론은 이번 사건을 '정의 수호'와 '민주주의 방어'로 묘사하며 국민의힘 의원들의 단결과 행동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반면, 진보 언론은 '법치 훼손'과 '권력 남용의 방관'이라는 관점에서 이번 집회를 비판하며 법적 절차를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지지자와 비판자 반응:
-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은 이번 집회를 환영하며, 의원들의 행동을 "정의와 헌법의 수호"로 평가했습니다. 특히, 일부 보수 성향의 단체는 현장에서 의원들을 지원하며 힘을 보탰습니다.
- 탄핵 찬성자들은 이를 '권력에 대한 맹목적 충성'이라며 비판했습니다. 이들은 법치주의를 위협하는 집회라고 규정하며 국민의힘 의원들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습니다.
사건의 의미와 전망:
이번 사건은 한국 정치의 심각한 양극화를 다시 한번 부각시켰습니다. 특히, 대통령 체포를 둘러싼 논쟁은 단순히 사법적 문제를 넘어 정치적 대립의 새로운 국면을 열었습니다. 이번 사태가 향후 대중 여론과 차기 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향후 과제:
정치권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사법과 정치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준수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국민들도 정치적 사건에 대한 객관적 판단을 통해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